CEG4U-AWS

홈 > 주요사업 > 제품정보

연구개발

Software Product Information

LRFD 기반 실무자용 설계프로그램(Trial version) 개발-송전철탑 심형기초-

Table of Contents

개 요

   LRFD 기반 송전철탑 심형기초 설계 S/W(TL-Deep(LRFD))는 LRFD 개념을 적용하여 심형기초에 대한 인발지지력 및 수평찌력을 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LRFD 기반 송전철탑 심형기초 설계 S/W(TL-Deep(LRFD))의 전체 구성은 우측에 설계조건을 제어하는 제어창(Control Panel)과 새로운작업, 파일 불러오기, 저장하기, 해석실행, 결과보기, 종료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 중간에는 입력한 해석단면을 구현한 화면과 이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각 종 버튼이 있으며 우측에는 지층구성, 심형기초제원, 심형기초특성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정보입력창 및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형태(Information Panel)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LRFD 기반 송전철탑 심형기초 설계 S/W(TL-Deep(LRFD)) 초기화면

   LRFD 기반 송전철탑 심형기초 설계 S/W(TL-Deep(LRFD))은 우측 제어창에서 자주 사용하는 해석옵션을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입력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중간 해석단면 창에서 즉시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해석결과에 대한 기본적인 형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요특징

   LRFD 기반 송전철탑 심형기초 설계에 적용된 이론은 DS-1110 가공송전선용 철탑기초 설계기준에 제시된 송전철탑 심형기초의 인발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을 해석할 수 있으며 심형기초에 적용한 LRFD 기반 송전철탑 심형기초 설계모듈을 개발하였다. 압축, 인장 및 수평하중을 받는 LRFD 기반 송전철탑 심형기초 설계모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다층에 대한 인발 및 수평지지력을 구할 수 있다.

☑ 지층의 특성에 고려할 수 있도록 층별 저항계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 지층과 심형기초의 규격을 입력하면 단면도 형태로 표시한다.

☑ 하중조합 및 하중계수를 다양하게 입력할 수 있다.

☑ 해석결과를 Microsoft Excel 범용문서로 출력,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툴을 사용하여 코드의 이해가 쉽고 향후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TL-Deep(LRFD) S/W 구성 및 기능

   LRFD 기반 송전철탑 심형기초 설계 S/W (TL-Deep (LRFD))가 실행되면 다음과 같은 초기화면이 생성되며 기본적으로 파일정보, 지층정보, 기초제원, 하중 및 하중계수 등에 의해서 단면이 생성된다.

[그림] LRFD 기반 송전철탑 심형기초 설계 S/W(TL-Deep(LRFD)) 메인화면

   사용자는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설계 현장에 적합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해석을 수행하며 입력된 데이터 및 해설결과를 확인한다. 해석방법 선택과 데이터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차후에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해석조건에 대한 내용을 사전에 준비하여야 하며 대표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적용 설계기준에 대한 이해

2) 해석 단면에 대한 기초지반의 지반 특성

3) 해석 단면에 심형기초의 제원 및 특성

4) 해석 단면에 작용하는 각 종 하중조건

1. 해석옵션 제어창(Control Panel)

   해석옵션 제어창(Control Panel)에는 해석옵션, 해석단위, 해석방법 등과 같이 각 종 해석에 필요한 옵션을 설정하는 항목과 화면제어, 도면한계 설정 등 해석단면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진다.

[그림] 해석옵션 제어창(Control Panel)

   해석옵션 제어창(Control Panel)에서는 각 종 해석에 필요한 옵션을 직관적으로 선택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며 다양한 옵션을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2. 해석단면과 입력결과

   중간의 화면에는 기본적으로 해석단면이 생성되며 해석단면의 상하부에는 해석단면을 제어할 수 있는 각 종 버튼이 존재하여 이 버튼을 이용하여 상부에는 해석단면을 확대, 축소, 영역, 이동, 동적, 전체 등 화면제어와 하단에는 다시그리기, BMP 이미지 저장 등과 같이 자주 사용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해석단면 입력 결과

   해석단면에서는 제어창(Control Panel) 항목 중에 화면제어 및 도면한계 설정 값에 의해서 도면의 크기 및 화면에 각 종 그리기 항목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3. 해석 데이터 입력

   해석 데이터 입력은 좌측 정보창(Information Board)에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는 파일정보, 지층정보, 기초제원, 하중과 하중계수 등 각 종 해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림] 해석데이터 입력 정보창(Information Board) 화면

   해석데이터 입력 정보창에서는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는 각 종 입력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파일정보, 해석단면의 지층정보, 하중정보, 사용할 심형기초의 제원 및 설치정보 등에 대해서는 사전에 사용자가 필히 준비하여야 한다. 기본으로 입력되어 있는 사항은 해당 단면에 대해 특수한 경우이므로 반드시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하다.

4. 파일정보 입력

   해석데이터 입력 정보창 화면에서 파일정보 대화상자 항목을 클릭하면 작업할 해석단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대화상자를 실행합니다.

[그림] 파일정보 입력

   파일정보 대화상자에서 입력되는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선로 및 공구명: 작업할 선로 및 공구명을 입력합니다.
  • 각종 철탑정보: 철탑번호, 형, 높이, 각 등 철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 회사명 : 사용자의 회사 명칭을 입력합니다.
  • 사용자 : 프로그램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 작성날짜 : 프로젝트 작성날짜를 입력합니다.
  • 수정날짜 : 프로젝트 수정날짜를 입력합니다.
  • 작업내용 : 프로젝트 작업에 대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 기타사항 : 프로젝트 기타사항에 대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 저장 : 현재의 작업을 저장합니다.
  • 종료 : 현재의 작업을 종료합니다.
5. 지층정보 입력

   해석데이터 입력 정보창 화면에서 지층정보 대화상자 항목을 클릭하면 작업할 해석단면에 대한 지층정보를 입력하는 대화상자를 실행합니다.

[그림] 지층정보 입력

   지층정보 대화상자에서 입력되는 항목은 지층명, 색상, 심도, 지층분류, 지층경사와 같은 지층특성, 점착력, 내부마찰각, 단위중량, N값, 항복전단응력, 지반변형계수, 항복압축지지력 등 토질정수와 흙의 중량, 인발 저항력, 수평지지력, 수평변위의 저항력 산정에 사용되는 저항계수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 버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추가 : 새로운 지층에 대한 지층정보를 입력합니다.
  • 삽입 : 선택된 지층의 위치에 지층정보를 삽입합니다.
  • 수정 : 선택된 지층에 대한 지층정보를 수정합니다.
  • 삭제 : 선택된 지층에 대한 지층정보를 삭제합니다.
  • 초기화 : 현재의 작업 목록을 초기화 시킵니다.
  • 저장 : 현재의 작업을 저장합니다.
  • 종료 : 현재의 작업을 종료합니다.
6. 기초규격 입력

    해석데이터 입력 정보창 화면에서 기초규격 입력 대화상자 항목을 클릭하면 작업할 해석단면에 대한 기초제원을 입력하는 대화상자를 실행합니다.

[그림] 기초규격 입력

   기초제원 입력 대화상자에서 입력되는 항목은 기초 색상, 근개, 주체 및 구체의 규격 등 기초의 규격과 콘크리트 및 철근의 특성 등 기초의 재질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 버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저장 : 현재의 작업을 저장합니다.
  • 종료 : 현재의 작업을 종료합니다.
7. 하중 및 하중계수 입력

   해석데이터 입력 정보창 화면에서 하중&하중계수 대화상자 항목을 클릭하면 작업할 해석단면에 대한 하중정보를 입력하는 대화상자를 실행합니다.

[그림] 하중정보 입력

   하중정보 대화상자에서 입력되는 항목은 기본사항 입력에서 하중명칭, 하중종류, 하중계수를 입력할 수 있고 작용하중 입력에서는 각 종 하중을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입력 버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추가 : 새로운 하중에 대한 하중데이터를 입력합니다.
  • 삽입 : 선택된 하중의 위치에 하중데이터를 삽입합니다.
  • 수정 : 선택된 하중에 대한 하중데이터를 수정합니다.
  • 삭제 : 선택된 하중에 대한 하중데이터를 삭제합니다.
  • 초기화 : 현재의 작업 목록을 초기화 시킵니다.
  • 저장 : 현재의 작업을 저장합니다.
  • 종료 : 현재의 작업을 종료합니다.

참고자료

   개발 관련 세부내용은 아래의 문서를  다운로드하여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RFD 기반 실무자용 설계프로그램(Trial version) 개발-송전철탑 심형기초-

연구개발 목록

Send Us A Message

문의처

씨이지 업무에 궁금한 점이 있으신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