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G4U-AWS

홈 > 주요사업 > 제품정보

연구개발

Software Product Information

TBM 굴착파쇄음 탐사자료 해석 모듈 제작 – 희송지오텍

Table of Contents

개 요

   최근 자원탐사에 주로 사용되어온 물리탐사는 지하비축기지, 지하철, 지반조사 등에 그 활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특히 터널공사를 포함한 각종 토목공사에 적용되고 있는 물리탐사 기법들이 많이 있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터널 굴착 전 지표 및 보링공 내에서 지반상태를 탐사해야합니다. 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는 지질구조로는 탄층, 석회암 공동, 단층, 파쇄대 및 연약대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지하공동이나 지하터널은 대형 구조물의 건설이나 지질구조의 안정성, 또는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터널 굴진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터널 막장 전방의 지질상태 및 불연속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이에 부합하는 대처 계획을 수립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입니다. 굴진 전방의 지질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 사전조사가 수행되며 그 결과에 따라 보강패턴이 계획됩니다. 사전조사를 통해 파악하기 어려운 깊은 심도의 구간에 대해서는 막장관찰이나 선진수평시추 등의 방법을 통해 획득됩니다. 그러나 막장관찰에 의한 방법을 통해서는 지질 상태를 근거로 불과 수 m의 전방의 지질상태만 유추 가능하며, 선진수평시추를 통해서는 전방 지질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며, 조사범위 또한 시후범위 내로 제한됩니다. 이러한 기법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며 막장 전방을 예측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뤄졌으며, 그 중 터널 내 탄성파 탐사를 통해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터널 막장면 전방예측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그 중 탄성파 탐사를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해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TMB 터널 굴착 파쇄음 터널 굴착 해석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습니다.

[그림] Green Steel 보강토옹벽 설치도

주요특징

   탄성파 탐사는 시추공 내 진원점에서 생성된 탄성파의 물리적 특성을 다른 시추공 내에 설치된 많은 수신점에서 기록하여 초동주시(first travel time), 초동 부분의 진폭(amplitude), 전체파형(full waveform) 등 을 이용하여 지하구조를 도출하는 영상화 기술입니다. 처음에 저장된 디지털 자료는 해석 소프트웨어에 적합하도록 포맷 변환하며 이 자료에 대하여 필터처리, 보정작업 등의 전처리를 수행한 후 파형을 분리하여 필요한 자료를 추출하고 다시 한 번 각종 필터처리를 실시합니다. 그 후,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탄성파 속도를 이용하여 구조보정 처리를 수행하여 반사시간 단면도를 작성합니다. 또한 적정한 탄성파 속도를 적용하여 반사 심도 단면도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TMB 굴착 파쇄음 탐사자료 해석 모듈은 초동이 발췌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역산이 수행되기 전까지 즉, 자료의 순차적 전처리 과정을 수행합니다.

참고자료

   개발 관련 세부내용은 아래의 문서를  다운로드하여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BM 굴착파쇄음 탐사자료 해석 모듈 제작 – 희송지오텍

연구개발 목록

Send Us A Message

문의처

씨이지 업무에 궁금한 점이 있으신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