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교량세굴 유지관리 시스템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자료 입출력, 조사 우선순위 결정, 교량세굴 위험도 결정, 결과 도식화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다. 기존 문헌이나 자료 등을 통해 교량과 그 현장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들을 입력하면 초기 분류과정을 거쳐 조사 우선순위가 결정되며 이는 현장 상세조사 순서를 결정함에 있어 합리적 기준이 된다. 교량의 현장 상세조사는 유역 및 교량 지점의 세굴 상태와 잠재적 세굴 가능성을 파악하는 부분과 교량 기초의 제원, 세굴심 및 지반 특성을 관리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현장 상세조사 자료의 분석과 세굴해석으로 결정한 예측 세굴심과 그에 따른 지반의 지지력 감소, 교량기초의 제원, 현장 세굴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량세굴 위험도 등급이 결정된다. 세굴 위험도 등급이 결정되면 그 결과를 화면상에 도식화하고 모든 자료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교량세굴 유지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기본체제는 그림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계하였다.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은 다수의 교량에서 수집된 교량 조사우선순위 정보, 교량현장 상세조사정보, 레이어 정보, 코드 정보로 구성되며 각 데이터베이스는 GIS기반을 둔 교량세굴 유지관리 시스템(BSMS)와 PDA를 이용한 실시간 교량세굴 현장조사 시스템과 상호 연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참고자료
개발 관련 세부내용은 아래의 문서를 다운로드하여 참고하시기 바랍니다.